카테고리 없음 / / 2023. 1. 11. 01:53

2023 설 연휴 명절 지원 정책 혜택과 지원금까지

 

2023-명절-지원정책
2023 명절 지원정책 혜택과 지원금

 

이제 얼마 있으면 민족 최대의 명절 설날이 다가옵니다. 더군다나 이번 설 연휴는 토요일부터 시작하여 대체공휴일까지 포함되어 4일간 진행되기 때문에 연차를 잘만 사용하면 총 9일까지 쉴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휴에 맞춰 나오는 2023 설 연휴 명절 지원정책과 혜택, 지원금들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바쁜 생활을 하다보면 이러한 지원과 혜택 등을 놓치고 지나가기 일쑤인데 오늘은 이와 관련하여 2023년 설 연휴 명절 지원 정책은 무엇이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2023-명절-지원정책
2023 명절 지원정책

 

농수산물 할인 지원

 

가장 먼저 농수산물 할인 지원이 있는데요. 기간은 1월 2일부터 시작해서 1월 25일까지 진행하고 있습니다. 원래는 1인당 1만 원이었고 전통시장의 경우 1~2만 원 사이였지만 이번에 새롭게 바뀌어 1인당 2만 원이 되었고 전통시장은 3~4만 원이 되었습니다.

 

특히나 설 연휴에 음식을 만들거나 차례상을 차릴 때 빼놓을 수 없는 식품들이 배추, 무, 사과, 소고기, 돼지고기, 고등어 등의 설 성수품들인데 16대 설 성수품들을 1월 2일부터 25일까지 20만 톤 공급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유통업체에서 자체로 성수품 위주의 할인이 진행되는데 최소 10%에서 최대 40%까지이며 농협이나 축협, 수협, 우체국, 홈쇼핑 등을 통해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편의

 

다음은 교통 편의와 관련 된 부분인데 설 연휴가 들어있는 2023년 1월 21일부터 24일까지 고속도로 통행료가 면제되며 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주차장은 연휴 기간 동안에 무료로 개당됩니다.

 

에너지 비용과 연료비

 

그리고 에너지 비용와 연료비에 대한 지원이 있는데 동절기 에너지바우처 단가를 추가 인상하여 원래는 14만 5천 원이었다면 추가 인상을 통해 15만 2천 원으로 바뀌었습니다. 또한 취약가구 지원 등유바우처 역시 단가가 인상되었는데요. 기존에는 31만 원이었다면 64만원 1천 원으로 변경되었으니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2023-설명절-지원정책

 

 

주거지원

 

다음은 주거지원입니다. 무주택 근로자의 월세 세액공제율이 증가하여 15~17%가 되었고 전세사기 피해임차인을 대상으로 저리융자 지원이 이루어지며 1.2~2.1%입니다. 마지막으로 저소득 피해임차인은 무이자 지원을 하게 되었습니다.

 

보육지원

 

보육지원의 경우 부모급여 지원금을 지원하여 만 1세는 월 35만 원, 만 0세의 경우 월 70만 원씩 지원됩니다. 그리고 아이 돌봄 서비스 역시 평일 요금이 적용되는 것으로 되었습니다.

 

중소, 소상공인

 

이 외에도 중소,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39조 원 명절 자금을 공긍하며 근로장려금이나 자녀장려금을 받는 대상자들은 명절 전에 조기 지급이 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1월 20일에 지급 예정이며 2022년 9월에서 11월 사이에 기한 후 신청을 하신 분들을 대상으로 적용됩니다.

 

그리고 긴급 복지 지원금이 인상되어 기존의 1인 가구 기준 58만 원이었던 것에서 1인 가구 기준 62만 원으로 변경되었습니다. 또한 명절 전 하도급 대금 조기 지금이 이루어지며 체불임금 대지급금 신속 지급이 이루어질 예정에 있는데 기존에 14일 이내였다면 7일 이내로 바뀌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노인과 청년의 고용위약계층의 설 전후 59만 명 이상 채용하는 것으로 정책이 나왔습니다.

 

2023-설명절-지원정책
2023 설연휴 명절 지원정책

 

문화와 생활 지원

 

문화 및 생활지원으로는 1월 21일부터 24일까지 4대 궁, 종묘, 조선왕릉을 무료로 개방하며 온누리 상품권 할인율이 증가하여 지류는 5%, 모바일과 카드형은 10%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지역축제나 박물관, 미술관을 중심으로 문화체험 행사를 지원하여 1월부터 2월까지 지역별 문화 축제가 개최됩니다.

 

이 외에도 이용할 수 있는 의료기관이나 약국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고 설 연휴를 대비하여 안전대책 수립과 중앙재난 상활실을 24시간 운영하기로 하였습니다.

 

통신 지원

 

통신 지원으로는 연휴 기간 동안에 무료로 영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지원되며 5G 어르신 요금제가 확대됩니다.

 

기타 지원

 

마지막으로 알려드릴 기타 지원으로는 알뜰 교통카드 저소득층과 청년 혜택이 더욱 강화되고 EBS 중학 프리미엄 강좌를 무료료 지원하게 되었으며 문화누리카드가 설 연휴가 시작되기 전에 재충전됩니다.

 

오늘은 이렇게 설 연휴 명절 지원정책과 혜택, 지원금까지 다양하게 알아보았는데요. 자신에게 해당되는 부분을 참고하셔서 지원을 꼭 받아가시길 바랍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